물산업 27

6.4. 사설관정 (Private Water Well)

6.4. 사설관정 (Private Water Well) 사설 관정의 증가로 해수유입 및 수질악화 문제가 대두되어, 1984년 Ministry of Agriculture에서는 신규관정 굴착을 금지하였다. 2011년 내전이 발발한 이후 대수로의 공급 중단이 잦아지면서, 일반 시민들이 자비로 사설 관정을 다시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관정허가 없이 개발된 양이 상당수이기에, 사설 관정의 취수량을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오수의 유입으로 지하수 전체의 오염에 대한 우려가 크다. 사설관정을 개발하지 못하거나 고지대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트럭으로 배달된 용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리비아/물산업 2023.01.10

6.2. 대수로 (Man Made River)

6.2. 대수로 (Man Made River) Benghazi는 1993년 1단계 사업으로 대수로와 연결되었으며, Ajdabiya Reservoir에서 용수를 공급받게 되었다. Suluq Pump Station을 이용하여 Al-Talhuya Reservoir (저장용량 200,000m3)로 이송된 용수를 자연구배로 Benghazi에 다시 흘려 보낸다. 저장용량 24,000,000m3의 Grand Omar Mukhtar Reservoir는 13,700hectare의 Khadra 경작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Grand Omar Mukhtar Reservoir는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규모의 물 저장시설이다. 저장용량 4,700,000m3의 Omar Mukhtar Reservoir의 용수는 P..

리비아/물산업 2023.01.09

6.1. 댐 (Dam)

6.1. 댐 (Dam) Benghazi동쪽에 Wadi Qattara Dam과 북동쪽에 Wadi Zaza Dam이 있다. 가까운 Wadi Qattara Dam (상류댐 및 하류댐)은135,000,000m3의 저수용량으로 설계되었으나, 지하유출 및 카르스트지형의 석회굴로 유실되는 유량이 많아 평균 담수량은 1/10수준이다. 사력댐으로 상류 Main Dam은 1969년에, 하류 Secondary Dam은 1972년에 건설되었으나, 만수위에 이른 적은 없으며 만수위 대비 1/3수준을 초과하는 경우도 많지 않다. 1977년 12월 저수위에도 불구하고 하류댐 붕괴사고가 발생하였으나, 낮은 유속으로 댐 전체의 소실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2004년 상류댐 보수 (Rehabilitation)와 하류댐 복구 (Recons..

리비아/물산업 2023.01.08

6. Benghazi Municipality의 사례

6. Benghazi Municipality의 사례 2006년 GWA (General Water Authority)의 기록에 의하면, Benghazi 지역의 연간 물소비는 212,000,000m3이며, 이중 161,000,000m3은 농업용수로 소비되고, 51,000,000m3은 생활용수로 소비되었다. 대수로 용수가 물소요의 50%를 담당하였으며, 잔여분을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의 관정과 민간의 사설 관정 등에서 공급하였다. 2018년 기준, Benghazi의 생활용수 사용량은 300,000m3/day이하이며, 대수로 용수가 280,000m3/day, GECOL의 담수가 1,200m3/day, 그리고 잔여 10,000~20,000m3/day..

리비아/물산업 2023.01.08

16. Military Investment and Public Works Committee

16. Military Investment and Public Works Committee 가다피 사후, 리비아에는 많은 군벌 (Militia)가 등장하였다. 동부지방을 장악한 군벌은 Khalifa Haftar가 이끄는 Libyan National Army (LNA)이다. Haftar는 2014년 Tobruk소재 리비아 의회 (House of Representatives, HoR)에 의해 총사령관 (General Commander)으로 선임되었으나, 그는 General Commander of the Libyan Arab Armed Forces (LAAF)라고 각종 문서에서 자신을 지칭하였다. United Nations Panel of Experts on Libya (UN안보리 결의 1973)은, LNA라..

리비아/물산업 2023.01.04

14. Tajura Nuclear Research Centre (TNRC)

14. Tajura Nuclear Research Centre (TNRC) 1996년 IAEA 회원국이 되었으며, 1978년 소련의 원자력연구소 및 원자력 발전소 건설계약을 체결하였다. 1986년 팬암기 폭발사건 (Lockerbie bombing)을 계기로 원전도입은 중단되었다. 리비아는 2007년 프랑스와 중규모 (Mid-size) 해수담수화용 원자로를 건설하고 우라늄의 탐사 및 발굴을 위한 협정 (Agreement)을 체결하였으며, 2007년 프랑스는 Areva가 원자로를 공급하고 147억불 상당의 계약을 리비아와 체결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2006.3 리비아-프랑스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연구협력 관련 MOU체결 2007.2 Areva와 리비아내 우라늄 채굴권을 부여하는 MOU 체결 200..

리비아/물산업 2023.01.03

13. Libyan Iron and Steel Company (LISCO)

13. Libyan Iron and Steel Company (LISCO) 1989년 가동을 개시한 국영 LISCO (Libyan Iron and Steel Company)는 연간 조강능력 1,300,000ton 규모의 북아프리카 최대규모의 일관제철소로, 자사의 설비 가동을 위해 담수설비를 운영중이다. 철강 (Steel) 1ton의 생산에 소요되는 청수 (Fresh Water)는 약 100m3수준이다. 다단증발에 앞서 해수 가열을 위한 열 (Heat) 생산을 위한 보일러 (Boiler) 및 Pump가동을 위한 전기에너지의 소비도 크기에 LISCO의 MSF담수시설은 용수, 전기 생산 시설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증발을 위한 증기 (Steam)은 증기터빈 (Steam Turbine)과 보일러 저압부에서 ..

리비아/물산업 2023.01.03

12. National Oil Company (NOC) 자회사

12. National Oil Company (NOC) 자회사 NOC (National Oil Company) 자회사들은 원유생산시설, 정유공장 및 가스처리시설등의 가동을 위해 중소규모의 74개 담수설비를 운영중이다. 내전이후 첫번째 담수설비로서, SIDEM이 Ras Lanuf Oil Company의 소규모 담수설비를 공급하고 있다. 1968년에 설치된 General Petroleum Corporation Authority를 1970년 National Oil Corporation으로 법인화하면서 설립되었다. 국가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매장 원유 개발을 계속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었다. 담수생산시설을 건설하여 유전지역에 생활용수와 산업용수를 공급한 역할도 부여받아, 해수담수화 및 기수담수..

리비아/물산업 2023.01.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