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로 6

5. Al Nahr Construction (ANC)

5. Al Nahr Construction (ANC) MMRA (Man Made River Authority)와 동아건설이 75%:25% 비율로 합작하여 설립한 회사로, 대수로 사업의 Main Contractor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내전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Brega의 PCCP (Pre-stressed Concrete Cylinder Pipe) 제작장이 공습의 피해를 받았으며, 또한 대부분의 한국인 핵심 인력이 내전이후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파산한 동아건설과 함께 콘소시움 멤버로 참여한 대한통운이 사업을 승계하였으며, ANC의 지분도 대한통운이 인수하였다. 대수로 사업의 지속적인 참여에 물류기업인 현 CJ대한통운의 관심은 그다지 크지 않다고 알려져 있으며, Al Nahr Constructi..

리비아/물산업 2022.12.31

4. Man Made River Authority (MMRA)

4. Man Made River Authority (MMRA) MMRA (Man Made River Authority)는 General Peoples’ Congress Law No. 10/1983에 근거하여1983년에 설립된 National Development Plan의 일환인 대수로 사업의 운영 및 관리하는 기관이다. Agricultural Reclamation and Land Reconstruction의 산하기관으로 출발하였으나, 이후 GAWR (General Authority for Water Resources)를 거쳐 수자원부(Ministry of Water Resources)의 산하기관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리비아의 물공급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Benghazi에 본부, ..

리비아/물산업 2022.12.31

IV. 수자원 시설 현황 (Water Sector Infrastructure)

IV. 수자원 시설 현황 (Water Sector Infrastructure) 리비아의 수자원 시설은 아래와 같다. 이러한 시설은, 제재로 인하여 수리 부품과 서방국가 기술진의 지원을 받지 못하여, 빠르게 노후화가 진행되고 가동 중지에 이르렀다. 이어진 내전으로 파괴되기도 하였으며, 복구를 위한 노력은 성과가 없었다. 전력시설과 연료공급시설 역시 비슷한 상황을 겪었고, 서로가 서로의 가동 중단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1. 물공급 체계 2. 댐 (Dam) No. Dam Region Location 설계 저수량 Million m3/year 연평균 저수량 Million m3/year 1 Wadi Qattara Green Mountains Jabal Al-Akhdar Benghazi 135.00 12.00 2..

리비아/물산업 2022.12.20

* NSAS(Nubian Sandstone Aquifer System) 개발

1960년대 이전까지는 수자원 개발형태는 오아사스, 샘, 혹은 소규모 우물이었으며, 취수량도 적었다. 1960년대에 대용량 펌프를 이용한 관개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의 대형 사업이었던 1960년도의 이집트 Dakhla 및 Kharga 오아시스 개발사업이 연간 1억m3를 취수하였다. 1998년까지 이집트와 리비아에서 약 20여개의 관정이 개발되었으며, 취수량은 연간 20억m3 (Nubian Aquifer 1,300m3/year, Post-Nubian Aquifer 900m3/year)에 이른다. 누비안 대수층에 위치한 4개국 모두 국가단위 대수층 개발계획을 가지고 있다. 수단과 차드의 대수층은 고지대에 위치하고 두께가 100m이하인 반면, 이집트와 리비아의 대수층은 저지대에 위치하고 두께가 5,000m..

리비아/물산업 2022.12.17

2.1 대수로 (Man Made River)

2. Non-Conventional Water Resources 2.1. 대수로 (Man Made River) 남부 사막지역에서의 석유탐사활동중에 우연히 발견된 대량의 지하수를 이용하여, 식량자급을 위한 18만 헥타르의 농경지를 확대 조성하고, 북부 해안가의 인구 밀집지역에 생활용수와 산업용수로 공급하며, 또한 원유 고갈에 대비한 산업육성과 궁극적으로 국민복지를 향상시키려는 녹색혁명의 계획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 (UNEP)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토목사업으로 칭한다. 사하라 사막의 지하 대수층 (주로 Nubian Sandstone Aquifer System, NSAS)에서 끌어올린 물을 대구경 지하관로를 이용해 북부 해안도시로 이송하는 ..

리비아/물산업 2022.12.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