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상하수도 시설 (Water Supply & Waste Water System)
5.1. 상수도 (Wat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Region | No. of wells | No. of Treatment Plants | No. of Reservoirs | Tank Capacity m3 |
No. of Pumping Stations |
Benghazi Plain | 284 | 0 | 184 | 24,000 | 62 |
Green Mountain | 589 | 1 | 350 | 50,000 | 198 |
Eastern Central | 58 | 3 | 153 | 6,000 | 42 |
Central | 510 | 1 | 442 | 1,000 | 213 |
Tripoli | 710 | 0 | 248 | 280,000 | 37 |
Western | 281 | 11 | 161 | 10,000 | 35 |
Western Mountain | 178 | 0 | 266 | 6,000 | 112 |
Southern | 354 | 3 | 250 | 5,000 | 106 |
Total | 2,964 | 19 | 2,054 | 382,000 | 806 |
<GCWW 시설현황, 2017> |
(1) 2,900 Water Well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가 관할하는 관정은 3천개 수준이나, 실제 운영되는 곳은 절반 정도로 추정된다. 시설 파괴, 약탈, 부품수급이나 전력계통 등과 관련 정비 부재의 문제로 많은 수의 관정을 정상적으로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정은 HIB (Housing and Infrastructure Board)나 지자체 같은 타 기관에서 굴착하여 운영을 위탁한 것들이다.
Tripoli의 경우, 도시 확장과 함께 주요한 도시 용수 공급원으로 개발된 Swani지역의 Well Field에는 20~150m 깊이에서 20~50m3/hour의 물공급이 가능한 50개 관정이 있다. 대수로 용수가 공급되면서 용수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이 사라지고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의 상수도 배관에 더 이상 용수공급을 하지 않고 있다.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의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관정의 절반이상은 주민들이 무단으로 점유하여 농장의 용수공급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나머지 관정들의 용수 펌프는 고장난 채 방치되어 있다. 또한, 지하수 취수가 늘어나면서, 해수유입으로 수질은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내전 기간중 대수로 용수공급이 장기간 차단되었을 때에도 이러한 관정들은 긴급 대체 용수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없었다.
Tripoli의 공급되는 대수로 용수는 남부의 Sidi Sayeh 저장시설을 거쳐 Ain Zara의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저장시설 및 Airport Raod의 저장시설을 거쳐 도시에 분배된다. MMRA (Man Made River Authority)의 Water Transmission Line은 비교적 최근에 건설되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Airport Road 저장시설의 Pumping Station은 내전중 기전설비들을 약탈당하여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의 상하수도 배관은 노후화와 부식으로 많은 누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상수도 오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상수도 배관의 압력은 기준치를 이하이며, 따라서 도시 곳곳의 고가수조까지 용수를 공급할 수 없다.
하수 역시 임시로 조성한 웅덩이(Black Well)에 투기되고 있으며, 토양과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2) 19 Water Treatment Plant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는 전국적으로 19개의 정수시설을 운영하였으나, 정비부족등의 사유로 실제 가동되는 것은 3개에 불과하다.
No. | Plant | Service Center | Technology | Capacity m3/day | Status |
1 | Surman | Surman | RO | 500 | Idle |
2 | AlAssa | Jamail | RO | 1,000 | Operational |
3 | Reghdaline | RO | 500 | Idle | |
4 | Jamail | RO | 500 | Idle | |
5 | Zilten | RO | 500 | Idle | |
6 | Ajeelat | Ajeelat | RO | 500 | Idle |
7 | Sabrata (Aathar) | Sabrata | RO | 1,000 | Idle |
8 | Telleel | RO | 500 | Idle | |
9 | AlBerkit | Ghaat | Fe, Mn Removal | Idle | |
10 | Ghaat | Fe, Mn Removal | Idle | ||
11 | Tahala | Brackish Water RO | 600 | Idle | |
12 | Weshka | Sirte | RO | 2,000 | Idle |
13 | Wadi Bey | RO | 1,500 | Idle | |
14 | Abu Njaim | RO | 1,500 | Idle | |
15 | Mrada | Wahat | RO | 500 | Operational |
16 | Jaghboub | Tubrok | RO | 1,500 | Operational |
17 | Tawergha | Misrata | Cooling, Softening | 60,000 | Idle |
<Basic Data and Condition of GCWW Water Treatment Plants> |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의 누수에 대한 연구나 실태조사가 이루어진 적은 없으나, 전문가들은 대도시지역의 누수는 35~50%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3) 2,054 Water Reservoir (Elevated Water Tank 및 Ground Reservoir)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는 2,054개의 고가 수조와 지상 수조를 관리하고 있다. GDCOL (General Desalination Company of Libya)의 개별 해수담수화시설에는 2개 담수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MMRA (Man Made River Authority)는 5개 대형 저수조 (Reservoir)를 운영하고 있으며,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 역시 대도시에 압력 조절을 위한 저수조를 보유하고 있다. MMRA (Man Made River Authority)와 GDCOL (General Desalination Company of Libya)의 저수시설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태이나,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의 시설은 상태가 좋지 않다. 도시 내에 설치된 고가 수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Tripoli로 공급되는 대수로 용수는, Sidi Sayeh의 저수조 (200,000m3)로 1차 공급된 후, 1,600~2,400mm의 Transmission Pipeline을 통해 Ain Zara의 3개 저수조 (120,000m3)와 Airport Road의 4개 저수조 (160,000m3)로 분배되고, 이어 Tripoli 시내 각지로 공급된다. 2013년 9월 11일 잦은 장기 단수에 수자원부 장관은 30일간 Tripoli의 안정적인 물공급을 위해 Sidi Sayeh에 24,000,000m3 규모의 저장시설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 |
![]() |
<Ain Zara Water Reservoir> |
Airport Road의 저수조는 Hay Al-Andalus, Ghout Al-Shaal, Al-Daribi, Abu Saleem등 Tripoli 서부지역의 급수를 위해 건설되었다. 급수압력은 5bar로 운전되었으나, 내전기간중 설비를 약탈당하여 저수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 |
![]() |
![]() |
![]() |
<Elevated Water Tank, Tripoli> |
Tripoli 각지에 다양한 규모의 고가수조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공급압력이 낮아 고가수조에 충수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수조는 내전기간중 파손되었다.
과거와 같은 대수로 용수의 공급중단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가구들이 자체 물탱크를 설치하였다. 20m3규모의 고가수조부터 FRP 탱크까지 다양하다.
(4) 330 Pumping Station
대부분 건설된 지 20년을 초과하였으나, 다른 분야 대비 나은 상황이다. 정비불량으로 가동되지 않는 곳도 많다. 일부는 불법 점거 상태에 있기도 하다.
(5) 53 염소주입설비 (Chlorination System)
전국적으로 53개 염소주입시설을 운영하였으나, 실제 가동되는 것은 극소수이다. Western Mountain지역이나 Southern지역은 시설 자체가 없다.
Region | Condition of Chlorination System | Calcium Hypochlorite Amount used, ton |
|||
Total | Working | Maintained | Under maintenance | ||
Tripoli | 5 | 1 | 4 | ||
Benghazi Plain | 12 | 6 | - | 6 | 24 |
Green Mountain | 1 | 1 | - | - | |
Eastern Central | 13 | 7 | - | 6 | 990 |
Central | 16 | 1 | 0 | 15 | 47.2 |
Western | 6 | 2 | - | 4 | |
Western Mountain | 0 | ||||
Southern | 0 | ||||
Total | 53 | 18 | 35 | 1621.2 | |
<Chlorination Systems in GCWW Wells and Reservoirs, 2017> |
또한, Chlorine Gas나 Hypochlorite(차아염소산 나트륨, NaOCl)의 재고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현 상수공급체계에서는 미생물오염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 과거조사에서 Piped Water의 55%, Well Water의 26%, Transported Water의 19%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던 사례가 있다.
다만, MMRA (Man Made River Authority)는 Balancing Reservoirs와 배관에서 염소를 주입하고 있으며, GDCOL (General Desalination Company of Libya) 역시 생산과정에서 염소를 주입하고 있다.
(6) 55,000km Pipeline
- 상수도 공급관로 (Water Transmission Pipeline)
부설배관의 재질은 다양하나 주철과 콘크리트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관로에 따라 상태도 다르다. MMRP와 연결된 배관이 비교적 최근에 시설되어 상태가 그나마 나은 편이다. 반면, 해수담수화시설과 함께 시설된 배관은 매우 노후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의 관정과 연결된 관로는 상태가 좋지 않은 편이다.
- 상수 배수관로 (Water Distribution Network)
법률로 정해진 관리주체는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이나, 배수관의 소유주체는 불명확하다. 따라서, 경상정비(Annual Maintenance)의 범위를 벗어나는 대규모 수리는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에 배정된 예산으로는 감당할 수 없어 정부의 별도 예산지원을 기다려야 한다.
상수도 배관망과 연결된 가구수는 전체의 64.5%수준으로 추정되나, 실태조사는 없었다. 펌프압력이 낮아 다수 가구에서 booster pump 혹은 저수조를 설치하고 있다. 배관경과 재질은 다양하며, 대개 설치된 지 30~40년이 지났다. 누수는 40~5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배수관로 상태는 매우 악화되었으며, 대규모 정비가 필요한 분야이다.
5.2. 하수도 (Sewerage and Sewage Treatment Plant)
- 7,000km Pipeline
- 201 Lifting Station/Pumping Station
- 24 Sewage Treatment Plant
대도시 하수시설은 1960년대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오수관로는 우수관로와 구분되어 건설되었으나, 일부 주거지 오수는 우수관로를 통해 배출되기도 한다. 오수관로를 통해 모아진 집수정의 오수는 하수처리장으로 펌프이송되며, 우수 집수정으로 모아진 우수는 펌프로 해양방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펌프시설은 대부분 가동불가 상태이며, 해외기업에 의뢰한 정비는 내전으로 중단되었다. 현재는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가 임시조치로 조달한 펌프를 부분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수처리시설 역시 심각하게 노후화된 상태이며, 일부 하수처리장의 경우 내전직전에 정비사업을 추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내전기간중 기전시설이 약탈되거나, 파손되어 현재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하수처리시설은 없으며, 하수처리시설을 우회하여 해양 방류된 오수가 초래한 극심한 해양오염으로 해안가 출입이 통제되기도 한다. 내륙지방의 하수처리시설은 사막 지역에 투기하거나, 오수 웅덩이에 투기하여 지하수 오염과 다른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1971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한 하수처리시설은 전국적으로 75여개가 건설되었으나, 내전으로 파괴되지 않고 남은 24개 하수처리시설마저도 가동되지 않고 있다. 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기준은 농업용 관개용수 수질을 만족하도록 되어 있다. 대도시 하수처리시설은 활성슬러지 (Activated Sludge) 기술을 채택하였다.
GCWW (General Company for Water and Waste Water)는 2013년이전까지 Ministry of Housing and Utilities에 속하는 조직이었기에, 같은 산하 조직인 HIB (Housing and Infrastructure Board)에 건설사업을 위임하였으나, 현재는 총리의 승인을 득하여 신규 발주의 주체가 되었으며 새로운 사업의 발주를 준비하고 있다. 전국단위 상하수도 시설의 전면회복을 위한 사업을 조속히 발주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초기 사업으로 하수처리시설의 복원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Treatment plants | Installation year | Design capacity m3/day | Existing capacity m3/day | Remarks |
Ejdabya | 1988 | 15,600 | 5,000 | - |
Benghazi A | 1965 | 27,300 | - | Out of order |
Benghazi B | 1977 | 54,000 | - | Provisional test |
Al-merg A | 1964 | 1,800 | - | Out of order |
Al-merg B | 1972 | 1,800 | - | Out of order |
Al-beada | 1973 | 9,000 | - | Under construction |
Tobruk A | 1963 | 1,350 | - | Out of order |
Tobruk B | 1982 | 33,000 | - | Out of order |
Derna | 1965 | 4,550 | - | Out of order |
Derna | 1982 | 8,300 | - | Under construction |
Sirt | 1995 | 26,400 | - | Under construction |
Abo-hadi | 1981 | 1,000 | 600 | - |
Al-brega | 1988 | 3,500 | 2,700 | - |
Zwara | 1980 | 41,550 | - | Not used |
Sebrata | 1976 | 6,000 | - | Out of order |
Sorman | 1991 | 20,800 | - | Under construction |
Zawia | 1976 | 6,800 | - | Under construction |
Zenzour | 1977 | 6,000 | - | Not used |
Tripoli A | 1966 | 27,000 | - | Out of order |
Tripoli B | 1977 | 110,000 | 20,000 | - |
Tripoli C | 1981 | 110,000 | - | |
Tajoura | 1984 | 1,500 | 500 | - |
Tarhouna | 1985 | 3,200 | 1,260 | - |
Gheraan | 1975 | 3,000 | - | |
Yefren | 1980 | 1,725 | 173 | - |
Meslata | 1980 | 3,400 | - | Not used |
Khomes | 1990 | 8,000 | - | Not used |
Ziliten | 1976 | 6,000 | - | Out of order |
Misrata A | 1967 | 1,350 | - | Out of order |
Misrata B | 1982 | 24,000 | 12,000 | - |
East Garyat | 1978 | 500 | - | Out of order |
West Garyat | 1978 | 150 | - | Out of order |
Topga | 1978 | 300 | - | Out of order |
Shourif | 1978 | 500 | - | Out of order |
Sebha A | 1964 | 1,360 | - | Out of order |
Sebha B | 1980 | 47,000 | 24,000 | - |
Total capacities | 546,435 | 66,233 | ||
<Technical Detail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Libya> |
![]() |
<Sewage Treatment Plant, Sirte> |
'리비아 > 물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General Water Authority (GWA) (0) | 2022.12.31 |
---|---|
V. 물산업 기관 및 기업 (Sector’s Players) (0) | 2022.12.24 |
4. 해수담수화시설 (Seawater Desalination Plant) (0) | 2022.12.22 |
3. 대수로 (Man Made River) (0) | 2022.12.21 |
IV. 수자원 시설 현황 (Water Sector Infrastructure) (0) | 2022.12.20 |